※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비행 준비하는 방법을 작성하였습니다.
1. 비행 전 준비
- 집에서 공항으로 출발 전 조종사 개인 필수 서류를 확인.
1) 여권 (국제선 전용, 국내선 비행 시 필요 없음)
2) 자격증 (비행자격증, 무선통신사, 항공 신체검사 증명서)
3) 회사 사원증, 승무원 등록증(출입국시 반드시 소지하고 있어야 함)
4) 최근 90일간 비행기록(출발, 도착 공항, 비행시간 등이 필수로 명시)
2. 비행 전 브리핑
- 회사 show up(출근도장)하고 새로 나온 공지사항 확인
- 개인 지참물 확인
- OFP(Operational Flight Plan), 기상, NOTAMs 확인
- 항공기로 이동!
◎ 브리핑사항이 간단하게 보이지만 좀 더 자세히 알아볼게요
▷ 공지사항 : 최근 발생한 이슈 및 사고사례, 도착 공항 사고사례 등
▷ 개인 지참물 : 챙겼다고 생각했지만 서로 확인하면서 안 가져올 수 있으니까요. (recheck! Cross check!!)
▷ OFP(Operational Flight Plan) : 비행 전반에 필요한 정보가 담겨있는 문서
① 운항비행 계획서 페이지 분할 설명
② 운항편명 : ex) IR1234
③ 운항일자 : 일 / 월 / 년, UTC 기준
④ 항공기 등록기호(Registration Number) : ex)HL7777
⑤ 항공기 Type : ex) A350, A321, B767, B747, B777
⑥ 항공기 SELCAL Code(Selective Calling System) : EGHP(에코, 골프, 호텔, 파파)
⑦ APMS(Airplane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) : 비행 중 성능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항공기 능력을 결정하는 방법
- 쉽게 이야기해서 신차가 중고차가 되어 조금씩 성능이 감소하는게 그것을 고려하여 비행계획에 포함시키는 뜻.
- ex) 1.4라고 하면 Trip fuel의 1.4% 보정해서 추가
⑧ CI (Cost Index) : 항공기 운항에 있어 시간과 연료 소모율에 대한 지수로 숫자가 0에 가까울수록 최소 연료 소비로
999에 가까울수록 최단시간으로 비행
- 조종사는 비행 도중 전구간에 걸쳐서 속도를 줄여야 할 때 CI를 변경할 수 있으며 SEC F-PLN을 통해서 예상되는
도착시간과 소모연료를 확인할 수 있다.
⑨ 승객수 : First Class / Business Class / Econmy Class (비행계획 시점의 예약 기준)
⑩ 화물량
⑪ 출발 공항 : IATA / ICAO l Time Conversion
⑫ 도착 공항 : IATA / ICAO l Time Conversion l ETA : STD +Trip time + 출발공항 Taxi out Time
⑬ Spot Number / Ramp Coordinates : 출발공항의 Spot num , 현재 좌표 (항공기 자체 IRS와 비교하여 작성)
⑭ Route 및 Way point : 항공기에 입력 시 Check!
" . " : waypoint 를 항로 (SID, STAR 포함)로 연결
" .. " : waypoint 를 Direct로 연결
⑮ Trip Fuel / Time : 이륙 후 도착공항에 파킹 할 때까지 사용될 연료
⑯ Ramp Fuel : Take off Fuel + Taxi Fuel / 시동 걸기 전에 항공기에 들어가 있어야 될 연료
⑰ AGTOW : 운항을 위해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최대 허용 이륙 중량(Allowable Gross Takeoff Weight)
- MTOW, MLDW + Trip Fuel, MZFW + Takeoff Fuel, RTOW 중 가장 적은 값으로 선정
⑱ 교체공항 정보 : 목적공항에서 교체공항까지의 거리, 고도, 시간, 바람, 연료, 항로 등으로 표시
- 가장 가까운 공항으로 항공기에 입력
⑲ 운항관리사가 해당 편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시에만 표출되는 추가정보
⑳ Tankering Information :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으로 쉽게 말해 출발할 때 도착할 때 사용할 연료까지 탑재
▷ 기상
- METARs, TAF, SIGMET 등
분류 | 코드 | 내 용 | |
관측 보고 |
METAR 정시항공 기상관측 |
- 1시간 혹은 30분 간격 발표 | |
SPECI 특별 항공 기상관측 |
- 정시관측 외 기상현상 변화시 기준에 의거 발표 | ||
예보 |
TAF |
FT(장기 예보) | -장기 예보는 구제공항(인천, 김포, 김해, 제주, 대구, 청주)에 발표 장기예보는 1일 4회(00, 06, 12, 18UTC)발표 24시간 유효 |
FC(단기 예보) | -단기예보는 국내지선공항(울산, 목포, 여수, 양양)에 발표 - 단기예보는 1일 4회(34, 05, 11 17UTC) 발표 12시간 유효 |
||
SIGWX (중요기상예보) |
- 중요기상 예보는 항로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상현상을 고고도(25,000FT~63,000FT), 중고도(10,000FT~25,000FT), 저고도(10,000FT이하)로 각각 나누어 중요기상예상도(SIGWX)로 발표 - 중요기상 예보는 매일 6시간 간격으로 4회(05, 11, 17, 23UTC)발표 |
||
TREND (착륙예보) |
- 착륙예보는 공항의 기상상태가 착륙에 중대한 변화가 예상될 시 정시관측보고나 특별관측 보고에 덧붙어 발표 - 국지적 이용자나 1시간 이내의 비행거리에 있는 항공기 운항에 사용, 관측시간 이후에 2시간 동안 유효 |
||
TAKEOFF FORECAST |
-이륙예보는 최대이륙 적재중략 계획에 필요한 예보로서 활주로의 기상상태(바람, 기온, 기압 등) 정보를 예상하여 발표 | ||
VOLMET (항공기상 음성방송) |
-인천공항 예보와 활주로 상태나 특별한 NOTAM내용을 녹음 | ||
공항 특보 |
SIGMET (위험기상정보) |
-항공기 안전운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한 기상현상이 발생/예상 될 때 발표 -유효기간은 6시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 4시간 이내 |
|
AIRMET (저고도 위험기상정보) |
-저고도 위험기상정보는 10,000FT이하 저고도 운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상현상이 발생 / 예상 될 때 발표 -유효기간은 6시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 4시간 이내 |
||
W/S (윈드시어 경보) |
-활주로 표면으로부터 고도 1600FT(500m) 사이의 항공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윈드시어가 관측 / 예상 되는 경우 |
||
기장 보고서 |
PIREP | - 화산, 착빙, 난류, 뇌전 등 |
근거 : 항공기상업무지침(2015), 항공정보메뉴얼(2020)
○ 착안점
- 현재 바람을 확인해서 예상되는 RWY나 RWY State를 판단
- 시동 전 바람에 방향에 따라 Push Back 방향을 판단 (엔진별 제한치로 강한 측풍에 의한 시동에 실패 가능)
- 저시정 Taxi 또는 이륙 교체공항 판단
- 악기상에 대한 대비(측풍, 착빙, Tubulence 등)
- Route 중간에 광범위한 CB가 형성되어 있거나 태풍 등의 영향이 예상될 때는 추가 연료 탑재 고려
▷ NOTAM : Notice to Airmen
○ 착안점
- 공항 내 공사 지역 또는 이동 불가지역 확인
- 장애물 위치를 확인하여 이륙 또는 착륙 간 제한 여부 판단
- 공항 접근 시 APP 방법에 제한을 주는 VOR, ILS, NDB UNSERVICE 상태 확인
- ROUTE 간 이용이 제한되는 FIX 또는 AIRWAY 확인
▷ 기타 : 개인 건강상태나 해당 공항 비행 여부를 상호 확인.
이제 브리핑이 끝났으니 비행기로 이동합시다!!
'비행 > 비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ch Number Technique 란? (4) | 2021.12.24 |
---|---|
21년 12월 ETPA 시험 결과 (2) | 2021.12.23 |
[미국조종사자격] FAA Part 141 vs 61 (9) | 2021.11.18 |
비행 시뮬레이터 (12) | 2021.11.15 |
[조종사 자격증] EPTA? (26) | 2021.11.04 |
댓글